Footerclick here
Main Logo
Menu
Mound of dried ginger and black pepper seeds

제목 : 마른 생강과 까만 후추씨 무더기
구분 : 설치
재료 : 지침서, 혼합 매체
크기 : 가변크기

Title : Mound of dried ginger and black pepper seeds
Type: Installation
Material: Mixed media with Guide
Dimension: Dimensions variable

김한라, <마른 생강과 까만 후추씨 무더기>, 2023, 설치, 지침서, 혼합매체, 가변크기. 작가 제공.

KIM Hahlra, mound of dried ginger and black pepper seeds, 2023, installation, mixed media with guide, dimensions variable. Courtesy of the artist.

실제 아닌 시공을 창출함으로써 전시는 ‘리미널리티’로 작동할 수 있다. 보편적 삶의 상황으로부터 괴리된 시간과 공간에서 행하는 비일상적·집단적 행위를 통해 물리적 현실 너머로의 경험을 이룬다. 전시의 시간을 과거-현재-미래를 표기한 선 위의 한곳에 둔다면 현재일 테지만 전시는 하나의 점에 찍히는 ‘단일 사건’ 이상임을 우리는 알고 있다. 리미널리티는 여러 시점을 건너는 ‘사이 상태’로써의 전시를 촉매한다.

<마른 생강과 까만 후추씨 무더기>는 모종의 의식을 지낸다. 입구에 발을 들이고 나면 다시 입구로 돌아나오기까지 세 단계 의례의 과정을 이행하는데, 굳혀온 자기이해를 내려놓음으로써 치러질 의식에 합의하는 ‘분리의례’, 지시된 상징행위를 통해 기존의 자기를 탈피하고 재해석하는 ‘경계의례’, 달성한 자기 성찰 재구성를 자축하고 이후를 기리는 ‘재통합의례’이다. 의식을 이루는 세 의례과정은 과거-현재-미래의 세 시점 간에 ‘여정 / 여정으로부터 여정으로의 여정 / 여정’으로 자리한다.

점점 깊숙해지는 공간에 따른 이동과 지침서에 따른 행위의 수행으로 의식은 치러진다. 지침서는 위치적·행동적 방법과 순서를 안내하기에 참여자는 의식의 전 과정에 이를 지참하며 정독한다. 공간의 물리적 특성에 착안하여 시작하는 텍스트는 곧 비물리적인 이야기로 나아가며 운명의 여신들 ‘모이라이’의 어원을 추적하기에 이른다. 리미널리티의 성질이 그러하듯 텍스트 또한 꼬리를 무는 방식, 인과와 상관, 전개와 연결 등 그 내용과 관계가 불확실하고 열려있다. 끝에는 ‘운명’으로부터 모호한 각도로 틀어지고 파생되어 귀결되는 이야기를 따라 참여자는 생각하고 움직인다. 지시적이고 합일적인 의식 속에서 이러한 사유, 행위, 시간, 의지와 같은 것들로 저마다의 제단을 올린다.

By creating non-real construction, the exhibition can operates as a 'liminality'. Experiences beyond physical reality are achieved through extraordinary and collective actions performed in time and space separated from the situation of universal life. If the time of the exhibition is placed in one place on the line indicating the past-present-future, it will be the present, but we know that the exhibition is more than a ‘single event’ marked by a single point. Liminality catalyzes the exhibition as a '사이 sai(between)-state' that crosses multiple time points. <mound of dried ginger and black pepper seeds> performs some kind of ritual. After stepping into the entrance, participants carry out a three-stage ritual process until returning back to the entrance: ‘Separation ritual’ that agrees on rituals to be held by letting go of the established self-understanding, ‘Boundary ritual’ that breaks away from and reinterpret the existing self through directed symbolic actions, and ‘Reintegration ritual’ that celebrates achieved self-reflection and reconstruction and commemorate later. Those three ritual processes that make up the ritual are located as 'Journey / Journey from Journey to Journey / Journey' between the past-present-future three points.

This ritual is carried out by movement according to the space that becomes deeper and the performance of actions according to the guide. Since the guide informs the locational and behavioral methods and progress, participants need to bring them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ritual and carefully read them. The text, which conceived with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goes to a non-physical story and eventually tracks the etymology of the goddesses of fate, ‘Moirai’. Just as with the nature of Liminality, the text is also uncertain and open in its content and relationship, such as the way of biting the tail, causality and correlation, development and connection. The participants think and perform according to this story, which is distorted and derived from an ambiguous angle from 'fate' at the end. In an instructive and unified ritual, each altar is raised with such their things as thought, performance, time, and will.

Scissor Icon
alter